본문 바로가기
정보일기💻

2025년 정책 바뀌는 것 고용 및 복지, 출산육아 정책, cj대한통운 배송서비스 변경

by 해피 젤리 2025. 1. 30.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푸른 뱀의 해에 변경 되는 정책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정책과 제도가 시행되는데 분야별로 정리해볼게요!

 

[고용 및 복지]

 

 1. 최저임금  

 

■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시급] 9,860원 → [시급] 10,030원 (170원 인상)

[월급] 2,060,740원 → [월급] 2,096,270원 (35,530원 인상)

 

*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기준, 주당 유급주휴 시간 포함*

 

*근로자 1명 이상이 모든 사업장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정규직, 비정규직,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에게 모두 적용됩니다*

 

 

 2. 기준 중위 소득 

 

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이 6.42%인상되어 6,097,773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 범위도 확대되었습니다.

 

 

 3. 사회보장급여 

 

■ 생계급여 : 부양의무자 소득 기준 완화 > 연 소득 1.3억원 또는 일반 재산 12억원 초과 시 수급탈락

■ 의료급여 : 건강생활유지비 인상 > 월 1만 2천원으로 인상

■ 주거급여 : 기준 임대료/주택 수선 비용 인상 > 기준 임대료 3.2%~7.8% 인상

                   주택 수선 비용 > 29% 인상

■ 교육급여 : 교육활동비 약 5% 인상 

 

 

 4. 맞벌이 가구 근로장려금 

 

근로장려금 : 저소득층 근로자에게 실질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제도로 매년 5월과 9월에 신청하면됩니다.

맞벌이가구의 소득상한금액이 기존 3,800만원 이하에서 > 4,400만원으로 600만원 상향됩니다.

 

 

 5. 국민내일 배움카드 

 

국민내일배움카드 : 직업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 비용을 카드로 발급해 지원하는 정책

기본 계좌 한도인 300만원 소진 시 계좌 한도를 추가 지원했는데, 계좌 추가지원 한도가 100만원 > 200만원으로 상향 조정

 

*가정 밖 청소년의 경우 자부담률을 15~55%에서 0~20%로 낮춰 훈련비 지원 우대*

 

 

 

[출산 육아 정책]

 

■ 육아 휴직

1) 최대 1년 6개월 사용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시 또는 중증장애아동부모 또는 한부모에 해당)

2) 급여 부/모 각각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

 

■ 배우자 출산 휴가

휴가 기간 20일로 확대, 최대 4번에 나눠 사용 가능

 

■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로 대상 확대 (고위험 임산부의 경우 임신 전기간 단축 가능)

 

■ 육아기간 근로시간 단축

자녀 나이 12세까지(초등학교6학년) 사용가능하도록 대상 확대

 

■ 신생아 특례대출

올해 1월 1일 이후 출산한 가구에 한해 대출 소득요건이 기존 부부 합산 1억 3천만원에서 2억 5천만원으로 완화됩니다.

대출 기간에 아이를 더 낳으면 우대금리가 0.4% 추가 적용됩니다. (2027년까지 시행)

 

 

[청년 지원 정책]

 

1) 대학생 장학금

■ 국가 장학금 : 국가 장학금 대상 구간을 9구간으로 확대해 150만명의 대학생이 국가 장학금을 받을 수 있도록 편성되었습니다.

■ 주거안정 장학금 : 4만 2천명의 대학생에게 연 240만원 상당의 주거 안정장학금을 지급하는 항목이 배정되었습니다.

■ 근로 장학금 : 2024년 14만명의 대학생 > 2025년 20만명의 대학생으로 6만명이 늘어났습니다.

 

2) 청년 연구자, 연구 장려금 지원

■ 대통령 장학금 : 청년 연구자 중 최우수 석, 박사생으로 해당되는 인원이 120명 > 215명으로 늘어납니다.

                           석사는 월 150만원, 박사는 월 200만원이 지급됩니다.

■ R&D 연구 장려금 : R&D를 연구하는 석, 박사생은 기존 2,472명에서 5,131명으로 늘어납니다.

                                석사는 월 100만원, 박사는 월 210만원의 연구 장려금이 지급됩니다.

 

3) 자산형성, 주거 지원

■ 청년 도약 계좌 : 정부 기여금이 월 최대 2만 4천원 > 월 3만 3천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청년 주택드림대출 : 예산 3.3조원을 투입해 분양가의 최대 80% 금액이 대출가능하고, 금리는 최저 2.2%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 청년 월세 한시지원 : 월 20만원씩 지원되는 제도 기간이 12개월 > 24개월로 연장되었습니다.

 

 

 

[CJ대한통운 배송 서비스 변경]

 

■ 2025년 1월 5일부터 CJ대한통운이 '매일 매일 오네'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휴일에도 배송되는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배송기사의 주 5일 근무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